코로나의 백신 개발로 인해 현재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맞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전의 생각으로는 백신만 나오면 코로나
는 잠잠해지겠지?라는 생각들이 많았습니다. 현시점에서는 그런 생각들이 점점 옅어지고 있는 실정 인대요. 바로 돌파 감염 때문입니다. 이게 뭐길래? 백신에 문제가 생겼나? 생각 드실 텝니다. 백신에 대한 문제가 아니라 코로나의 변이에 대한 문제가 가장 크다고 합니다. 조금만 들여다보면 서로가 깊은 연관이 돼 있는 단어임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오늘은 현 실정과 가장 가까이 닿아 있는 단어 돌파 감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돌파 감염 무슨 뜻?
앞서 말했듯, 현재 백신의 개발 및 수급으로 인해 세계적으로 점차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산들이 많은 것도 사실이죠. 백신의 안정적 수급, 인식 개선 그리고 변이의 발생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은 점차 안정화되는 코로나에 대한 강력한 불안요소 중 하나입니다. 많은 분들이 잘못 알고 계시는 것으로 백신만 맞으면 코로나 안 걸리는 거 아니야?라는 의견 인대요. 저의 대부분의 지인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걸리지 않을 확률이 높을 뿐이지 절때 걸리지 않는다는 뜻은 아닙니다. 바로 우리가 오늘 알아볼 돌파 감염의 위험 때문인대요. 사실 단어적인 의미만 봐도 돌파해서 감염시킨다라고 쉽게 연상할 수 있습니다.
코로나 백신의 접종 횟수를 마치게 되면 항체 형성 시기가 있습니다. 보통 2주인대요. 이 2주가 지나면 흔히 항체가 형성되었다고들 하죠. 그런데 2주의 시간이 지난 뒤에도 코로나가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돌파 감염이라고 부릅니다. 돌파 감염의 원인으로는 앞서 말한 변이 바이러스의 발생도 있지만, 백신의 부적절한 보관법, 투여법 등이 있고 항체 차단같은 이유도 있다고 합니다. 다만 대부분의 돌파 감염된 환자들은 미약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 기간 및 회복 기간 또한 짧다고 합니다.
다만, 앞으로 어떤 변이가 나올지 모르고 어떠한 상황이 나올지는 어느 누구도 모릅니다. 난 백신 맞았으니까 괜찮아가 아닌 혹시나 하는 마음을 늘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저의 지인 중 한 명도 난 백신 맞았으니까라는 말을 달고 다니는 사람이 있는대, 사실 맞고 안 맞고를 떠나 현시점에서는 국민 모두가 방역수칙을 준수히 지켜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본인의 건강을 위해서도 그러 하지만, 가깝게는 친구 가족을 위해서 넓게는 예전 같은 삶으로 되돌아가기 위해 말이죠. 오랜 기간 지속된 코로나 시기로 인해 더욱 답답하고 힘들 테지만, 이럴 때일수록 철저한 자기 방역과 인내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엄청난 불안에 떨면서 살아야 할 필요도 없습니다. 부정적인 이야기들을 나열한 탓에 문제가 심각한거 아니냐 하시겠지만, 현재 세계적으로 집단 면역의 길을 걷고 있으며, 언제나처럼 인류는 위험을 이겨내고 한 단계 더 성장하지 않을까 하는 개인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상 돌파감염의 뜻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