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와 상식백과

빌런 뜻, 빌런의 유래는 무엇일까?

궁그미이 2021. 8. 27. 23:56
반응형

조커가-카드를-들고있는-사진
출처-구글-이미지-조커

 

1. 빌런의 뜻은 무엇을 말하는걸까?

 

  • 1-1. 인터넷 각종 매체를 검색하다 보면 빌런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합니다. 유튜브와 블로그 하물며 뉴스에서도 보이죠. 그리고 빌런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는 글과 영상에는 검은색 옷을 입고 사악한 표정을 짓는 인물들이 보입니다.(대표적으로 영화 조커의 주인공이 생각납니다.) 뜻을 정확히 알지 못하는 사람이라도 미루 짐작해, 빌런은 사악한 사람들을 뜻 한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단어의 범위를 크게 이야기하자면 악당이라는 뜻으로 쓰인다는 것입니다. 
    • 1-2. 하지만, 단어란 고유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만 시대적 상황과 시기에 따라 변화하게 됩니다. 기존에 있던 단어임으로 신조어라고 부르기는 어렵지만, 우리가 오늘 알고 싶어 하는 빌런의 뜻 또한 다양한 의미로 변형되어 쓰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전적 뜻과 변형된 쓰임새 두 가지 다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빌런의 어원은?

  • 2-1. 빌런의 어원은 예전 라틴어 빌 라누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빌 라누스는 농민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고대 라틴어라고 합니다. 우리가 생각하기에 농민이라는 단어는 앞서 말했던 사전적 의미의 악당 악인과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로 보입니다. 왜 농민이라는 단어가 악당이 되었을까요? 
    • 2-2. 이를 정확히 알기 위해서는 중세시대 역사를 알고 가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중세시대에서의 기사 계급과 땅을 가진 영주들은 막강한 파워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흔히 말하는 갑을 관계에서의 독보적인 갑은 기사와 영주 을은 농민이었습니다. 음식, 땅, 권리 모든 것은 농민에게 불리했습니다. 사정이 더 나빠져 근 르네상스 시대에 도시가 형성될 즘엔 배를 굶는 일까지도 생겼습니다. 이에 가난과 배고픔을 참을 수 없었던 농민들은 도둑질과 약탈을 해서 생계를 이어나갔다고 합니다. 이쯤 되면 감이 오시는 분이 있으리라 생각되는데 기사와 영주의 입장에서는 상대적이지만 악당이라고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 2-3. 사실 우리네 관점에서는 영주와 기사가 빌런이라는 말에 더 합당해 보입니다. 사실 그들이 땅을 뺏고 음식을 뺏지 않았다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을 테니까요.(물론 결과론적입니다) 지금의 영화와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도 신기하게 이와 같은 관점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면 힘든 시절 누군가의 핍박과 폭력을 받고 자라 악인이 된 경우, 자신의 무엇을 가져가거나 잃게 만든 상대방을 복수하며 나타나는 악인. 사실 누가 잘 낫다 못났다를 정하는 것보다 현실적으로는 어떤 입장이냐에 따라 다른 이야기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3. 빌런 그냥 악당을 의미할까? 

  • 3-1. 말했듯이 단어적 의미로만 따지자면 빌런은 뜻은 악당이 맞습니다. 한글로 바꾸면 악인, 범죄자 악하다는 말까지 쓰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시대에서는 좀 더 다양한 의미로 쓰이고 있습니다. 
    • 3-2. 현재 자주 사용되는 쓰임새로는 괴짜를 뜻하는 경우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어떤 어떤 빌런이다"라는 이야기는 그 주제에 해당하는 괴짜이다가 되겠습니다. 예를 들면 라면을 많이 먹거나 라면으로 특이한 걸 만드는 사람을 보며 "어 저 사람 라면 빌런이다" 매체의 제목을 뽑자면 "라면으로 비행기 만드는 빌런 등장"이렇게 쓰일 수도 있을 듯합니다.
    • 3-3. 또 무언가로 피해를 주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빌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아이스크림을 벽에 던지고 웃는 사람을 아이스크림 빌런이라고 할 수도 있으며 지하철에서 시끄럽게 통화하는 사람을 지하철 통화 빌런이라고 지을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괴짜에 비해 부정적인 점이 좀 더 강조됩니다.

 

 

4. 맺음말

  • 4-1. 사실 빌런은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며 앞으로도 다양한 표현으로 우리의 곁에 있을 듯합니다. 드라마와 영화만 봐도 악당이 나오지 않으면 이야기의 전개가 되지 않으니까요. 오늘은 빌런 즉 악당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