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라이팅 뜻
인터넷 전반, 사회 전반에 빠르게 자리 잡은 용어 가스라이팅에 대해 아시나요? 저도 사실 자세한 내용은 알지 못하다가, 친구와의 전화 중 처음 가스라이팅이란 단어를 들었습니다. 당시에 친구의 하소연을 듣고 있던 와중이라 그게 무슨 뜻이야? 하고 물어보진 못하였고, 검색을 통해 해서 직접 찾아봤는대요.
당시 친구는 자신의 연인이 가스라이팅이 심하다고 말하며, 자기가 하고 싶은걸 먹고 싶은걸 못하게 만든다라.고 말했습니다. 예를 들면 "족발 맛집을 찾았는데 퇴근하고 같이 갈까?"라고 하면 "나 족발 싫어하는 거 알잖아 그걸 왜 자꾸 까먹어?"라고 대답했다고 합니다. 사실 족발을 싫어한다는 대화는 한 적이 없다고 하며, 같이 족발을 먹은 적도 많았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말하길, 자기의 말을 제대로 들었으면 족발을 먹자고 했을리가 없다. 네가 제대로 기억 못 하는 것이고, 실망했다는 뉘앙스로 이야기했다고 하고 또 그런 일이 생길까 봐. 먹는 것도 제대로 이야기 못하고 늘 연인이 먹고 싶어 하는 음식만 먹는다는 한풀이를 저에게 했었습니다. 사실 친구의 입장만 들어볼 것이 아니라, 연인분의 입장도 들어 봐야 할 문제 이긴 하지만 이와 같은 이야기가 요즘 대두되고 있는 가스 라이팅에 대한 이야긴지 궁금해져 찾아보았습니다.
가스 라이팅 뜻
앞서 말한대로, 궁금증을 가졌고 검색을 한 결과 가스 라이팅의 뜻은 교묘한 말과 행동으로 타인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들고 이로 인해 심리적 정서적 조정을 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그러한 행위엔 거부나 반박, 부인을 통해 진행되며 그러한 행동들이 쌓여가며 상대방은 아 내가 이러한 행동을 하면 안되는구나. 아 내가 잘못했구나 하는 인식으로 가스라이팅을 하는 가해자를 낮은 태도로 대하게 되고 끝내는 자신을 못 믿고 의심하는 상태가 된다고 합니다. 즉 심리적 종속관계가 되는 것이죠. 이것을 가스라이팅이라고 표현한다고 합니다.
이 가스라이팅에 대한 사회적 논란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남들이 보기엔 저 사람 왜 저래? 당연한 거 아냐? 바보여서 그랬을꺼야 등의 의견이 있지만 사실 가스 라이팅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으로 이미 상하관계가 유지되어 자연스럽게 그러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자신을 믿지 못하기에 가해자의 말만 믿고 하는 행동이라는 것이죠.
가해자 입장에선 그게 가스라이팅인줄 모르고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하지만, 알고 있음에도 금전적이나 어떠한 이득을 취하려 가스 라이팅을 하는 사람도 늘어나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에 따라 가스 라이팅 또한 범죄다라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고 이와 함께 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죄 (절도, 폭행, 성폭행) 등에 대한 관심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문제는 가해자 의존적 성향이 강해진다는 것 인대, 이는 자신을 믿지 못하게 됨으로써 가해자의 말만 믿게 됩니다. 심하면 많은 이들이 잘못되었다 말해도, 고소나 수사를 받고 있는 와중에도 믿지 못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고 합니다.
가스 라이팅의 해결방법
사실 가스라이팅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들에게 많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친구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고 또는 연인관계,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즉 현실에서 다양한 관계와 일로 인해 가스 라이팅이 일어나게 됩니다. 대부분의 경우는 이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가해자인 가스라이터 조차 그러려고 한 행동이 아녔을 수 있습니다.
사실 그 사람이 그랬다 안 했다의 문제도 중요하지만, 당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아! 이게 가스 라이팅 아닌가? 나는 잘못한 게 없는데 왜 꾸지람을 듣고 있지? 하며 인식을 하고 의심하는 게 가스라이팅에서 벗어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위해서는 가스 라이팅에 대한 전반적인 뜻을 알고 있고 다양한 예시를 아는 게 좋아 보입니다.
그리고 가스 라이팅에 당하고 있다는 확신이 든다면 그 사람과의 관계에 거리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말과 행동으로 다시금 빠져들어 자신을 의심할지 모르니까요. 다른 방법으로는 남의 말을 먼저 믿고 행동하기 보다는 본인의 생각을 이야기 할줄 알아야 하고 직접 알아보며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가지는게 좋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가해자나 상대방에게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것에 큰 도움을 줍니다. "이건 너가 oo를 잘못하는 바람에 일이 이렇게 됐어. 이건 다 너의 잘못이야 사과해" 라고 하는 상대가 있다면, 자신이 잘못한 부분에 대해서 사과는 당연히 하더라도,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한 이야기나 어쩔수 없는 상황이나 과정등을 설명하며 사실이 아닌 부분에 대해서는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정확한 팩트를 기반으로 이야기해야 합니다.
맺음말
사회적 전반으로 빠르게 스며든 가스라이팅에 대한 단어를 알아보았습니다. 작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앞으로도 좋은 글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